티스토리 뷰
청년문화예술패스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주관하는 청년 문화 지원 정책입니다.
만 19세가 되는 청년에게 최대 15만 원 상당의 포인트를 제공해 공연, 전시, 연극 등 다양한 문화예술 콘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돕습니다.
청년이 문화예술에 접근하고 향유하는 문화를 만들기 위해 도입된 이 정책은 1년에 한 번, 만 19세가 되는 해에만 제공됩니다.
대상자 확인
2025년 청년문화예술패스 대상자는 2006년생, 즉 2025년 만 19세가 되는 청년입니다
정확히는 2006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 사이 출생자이며, 대한민국 국적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습니다.
거주지, 소득, 성별과 관계없이 1인 1회 한정으로 신청 가능하며, 대리 신청은 불가능합니다.

신청 기간과 방법
- 신청 기간: 2025년 3월 6일(수) ~ 5월 31일(토)
- 신청 방법: 청년문화예술패스 공식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신청
신청은 본인 명의의 휴대폰 인증 또는 공동인증서가 필요하며, 1~2분 이내 간단하게 완료됩니다.
대리 신청은 불가하므로, 반드시 본인이 직접 신청해야 합니다.
최대 15만 원까지 지원됩니다

기본 지원은 국비 10만 원입니다. 여기에 일부 지자체가 추가로 지방비 5만 원을 더해주는 경우, 최대 15만 원까지 포인트가 충전됩니다.
- 기본 지원: 국비 10만 원
- 지자체 추가 지원: 최대 5만 원 (서울, 경기, 부산, 인천 등 참여)
- 총 지원액: 최대 15만 원
지방비 추가 여부는 거주지 지자체 기준으로 자동 적용됩니다. 별도로 신청하지 않아도 되니, 주소지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사용처
청년문화예술패스 포인트는 현금처럼 다양한 문화생활에 쓸 수 있습니다.
- 인터파크 티켓
- YES24 공연·전시 예매
- 국공립 공연장 및 문화시설
- 클래식, 뮤지컬, 연극, 오페라, 전시회 등
다만, 일반 쇼핑몰, 음식점, 교통비에는 사용이 불가능하며 문화예술 분야에 한정됩니다.


지자체 추가 포인트 확인 방법
추가 지원을 받기 위해선 거주지 지자체가 참여 중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 공식 홈페이지 접속: 청년문화예술패스
- '지자체 추가 지원 여부 확인' 메뉴 클릭
- 자신의 거주지 선택 후, 추가 지원금 확인
서울, 경기, 인천, 충북, 대전, 광주 등 대부분의 광역시·도가 참여 중입니다.
포인트 유효기간과 주의사항
- 포인트 유효기간은 2025년 12월 31일까지입니다.
- 기한 내 미사용 포인트는 자동 소멸됩니다.
- 부정 사용 시 환수 조치되며, 본인 외 사용은 금지됩니다.
또한, 공연 예매 후 환불 시 포인트가 자동 복구되지 않는 경우도 있으니 유의하세요.
Q&A – 청년들이 자주 묻는 질문
Q. 예술을 잘 몰라도 신청할 수 있나요?
A. 네! 관람 목적이기 때문에 예술 지식은 전혀 없어도 됩니다.
Q. 지자체 추가 지원은 별도 신청이 필요한가요?
A. 아닙니다. 자동으로 적용되며, 주소지 기준으로 결정됩니다.
Q. 포인트를 쓰지 않으면 어떻게 되나요?
A. 유효기간 내 미사용 시 소멸되며, 다음 해로 이월되지 않습니다.
청년문화예술패스는 19세라는 특별한 시기에만 받을 수 있는 일회성 혜택이지만, 그 가치는 큽니다.
한 편의 공연이 삶을 바꾸고, 전시 한 번이 새로운 시야를 열어주기도 하죠. 무료로 주어지는 이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알쓸신잡'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조기재취업수당 모의계산으로 예상 실수령액 확인하기 (0) | 2025.05.29 |
---|---|
자영업자 조기재취업수당 받을 수 있을까? 신청 조건과 증빙서류 후기 (0) | 2025.05.29 |
캠핑카 대여 vs 구매, 뭐가 더 좋을까? 비용·조건·추천 업체 총정리 (0) | 2025.05.28 |
2025 서울정원박람회 텐트·그늘막 설치 가능구역과 피크닉 장소 안내 (0) | 2025.05.27 |
직장인 DISC 성격유형별 업무스타일 분석! 무료 성격테스트 링크 (0) | 2025.05.26 |